단종(端宗)의 유배지(流配地)... 영월(寧越) "청령포(淸泠浦)"

DS3EXX 0 1,122
단종(端宗)의 유배지(流配地)... 영월(寧越) "청령포(淸泠浦)"


단종(端宗)은 서기 1441년(세종 23)에 문종(文宗)과 현덕왕후(顯德王后) 권씨(權氏) 사이에서 외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단종(端宗)을 낳고 사흘 만에 죽었다.
세월이 흘러 세종(世宗)이 죽고
서기 1452년 즉위한지 2년만에 아버지 문종(文宗)마저 병으로 죽으면서

엉겁결에 왕위에 올랐는데,
이때 단종(端宗)의 나이가 열 두살이었다.
즉위한지 1년만에 숙부(叔父) 수양대군(首陽大君)이 일으킨 계유정란(癸酉靖難)으로 유명무실한 왕으로 전락하고 만다.
계유년(癸酉年)에 김종서(金宗瑞), 황보인(皇甫仁) 등이,
안평대군(安平大君)과 결탁해 반역을 도모하려 한다는 핑계로 정적(政敵)들을 제거했는데,

역사(歷史)는 이 사건을 계유정난(癸酉靖難)이라 적고 있다.
그러나 이는 수양대군(首陽大君)이 왕위를 찬탈한 사실상 쿠데타였다.

 

3732160784_3z1pFwiI_8dbc47cadab17bde32ae
수양대군(首陽大君)의 압력으로 허울뿐인 상왕(上王)으로 물러난 단종(端宗)은,
세종(世宗)의 여섯째 아들이자

수양대군(首陽大君)의 동생인 금성대군(錦城大君)의 집에 연금 상태로 머물게 된다.
그러다가 서기 1457년 6월에 성삼문(成三問), 박팽년(朴彭年) 등의 집현전(集賢殿) 학사들이
단종(端宗) 복위 운동을 펼친 것을 기화로

단종(端宗)은 상왕(上王)에서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등 된다.
이때 단종(端宗)의 나이 열 일곱이였다.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등됨과 동시에 영월(寧越)로 유배된 단종(端宗)은
경상도(慶尙道) 순흥(順興)으로 함께 유배된 금성대군(錦城大君)이 단종(端宗) 복위(復位)를 계획했다가 발각 되자,

노산군(魯山君)에서 일반 서인(庶人)으로 또다시 강등 되고

결국에는 사약(死藥)을 받는다.

 

3732160784_uygoWMZE_d4adf2ac3c9331339fcb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는

조정(朝廷) 대신들이 노산군(魯山君)을 처형하라고 주장해 세조(世祖)가 이를 윤허(允許) 했는데,
사약(死藥)이 내려지자 노산군(魯山君)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승자(勝者)에 의해 쓰여진 역사(歷史)로 정확하진 않다.

 

3732160784_qLIKP0n4_24c6755e72a7d4c3e98f
때로는 정사(正史)보다 야사(野史)가 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승자(勝者)의 과장되고 미화된 기록을 야사(野史)가 바로잡은 까닭이다.
이 사건을 야사(野史)에 보면 이러하다.

 

3732160784_YZA0sxqu_1371a3bf4145926a3606

"금부도사(禁府都事) 왕방연(王邦衍)이

사약(死藥)을 받들고 영월(寧越)에 이르러 감히 들어가지 못하고 머뭇거리자,
나장(羅將)이 시각이 늦어진다고 발을 구르며 다그쳤다.
금부도사(禁府都事)가 하는 수 없이 들어가 뜰 가운데 엎드려 있으니,

단종(端宗)이 익선관(翼善冠)과 곤룡포(袞龍袍)를 갖추고 나와서

이곳에 온 까닭을 물었으나
금부도사(禁府都事)가 대답을 못했다.
이를 눈치 챈 통인(通引) 하나가 스스로 거사할 것을 자청하고 나섰다.

그는 단종(端宗)을 곁에서 모시는 자였는데,
활줄에 긴 노끈을 이어서 단종(端宗)의 목에 걸었다.

그리고는 앉은 좌석 창문 뒤쪽으로 가서 끈을 잡아당겼다.

일을 끝낸 통인(通引)이 미처 문 밖으로 나오지 못하고 벌벌 떨고 있고,

 단종(端宗)은 몸 아홉 구멍에서 피가 흘러나와 그 자리에서 즉사 했다.

유배 3개월만인 그해 10월로 단종(端宗)의 나이 열 일곱이었다."

 

3732160784_DprVAEtz_4a290a5e2e8d709a7bd1
"그 후 단종(端宗)을 모시던 시녀와 시종들이 앞다투어

동강(東江)에 몸을 던져 죽어 둥둥 뜬 시체가 강에 가득 했다.
이날 뇌우(雷雨)가 크게 일어나 지척에서도 사람과 물건을 분별할 수 없었고,
맹렬한 바람이 나무를 쓰러뜨리고 검은 안개가 공중에 가득 깔려 밤이 지나도록 걷히지 않았다." 라고
당시의 상황을 리얼하게 적고 있는 책이
조선(朝鮮) 정조(正祖) 때 이긍익(李肯翊)이 지은 역사책(歷史冊)인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이다.

 

3732160784_Yg5HsCOB_ae4065eb516206b25c6d

단종(端宗)의 사례에서 보듯,
조선(朝鮮)이 아무리 왕조(王朝) 국가라고는 하지만

힘이 없는 왕(王)의 즉위는 결국 정국(政國)의 혼란만 가중시킬 뿐이었다.
따라서 단종(端宗)의 사례는

보호받지 못한 왕권(王權)의 말로가 이처럼 비참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여실히 보여준다.
그렇게 그는 권력 다툼의 희생양이 되어

이곳 영월(寧越) 청령포(淸泠浦)에서 짧은 생을 마감 했다.

 

3732160784_Yg5HsCOB_ae4065eb516206b25c6d

 

3732160784_jS0xMiDy_1fb25673a187e0300c02

 

3732160784_DrnGv9ft_1f6d92181dd685ef2a6a

 

3732160784_Uq85GfV1_4da92db5c24dcf6dcfda

시종과 시녀들이 기거하던 집으로 어소와 담을 사이에 두고 있다.

 

3732160784_AgGRvU32_15b1d86b84d4cf2735b0

 

3732160784_Y5PG6VdS_a7b33899897f17573e7b

단종(端宗) 어소(御所)

이곳 어소(御所)는
오랜 세월에 걸친 비바람에 허물어지고 무너진 것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를 근거로 하여 재건(再建)한 집이다.

 

3732160784_L7uyAgRr_79c44926ba94ace159a8

 

3732160784_xY3glzPL_e7b7bd9604de2589b693

 

3732160784_NOFJm2wp_a97c89f3e4ecd02d544e

 

3732160784_FV9katiZ_ab9999935ccbf2e2611d

 

3732160784_A5oeECsl_7d727b7a5634bc1f7153

 

3732160784_NRa8zoZ6_16908ea921872a4f3ada

 

3732160784_SHpgktTK_c97ddb72dbf3032d8e2a

 

3732160784_inC8RauS_0aa073502daf6174e0b3

 

3732160784_aTNSbsxj_b01fe40c9dd6fe1f205f

 

3732160784_z2armW3F_39591192915c701ff903

 

3732160784_Xj8Wcvmb_472aa7565ac83fe4ba4b

 

3732160784_Pvgm54Tr_7d13f116d588d556d768

 

3732160784_mxGt1HSz_0ef831241bb9bb021c12

청령포(淸泠浦) 관음송(觀音松). 수령 약 600년

 

3732160784_N1XABMmi_c408bd73d3b394808a78

 

3732160784_TJPzd10O_9f4bc13eae6d51f2afb0

 

3732160784_SntRybEc_eb11b52c90bf43b288aa

 

3732160784_309pDlJB_e0a26458878bf4ba90f5 

 

3732160784_zmP2Y09O_b69ce4fb18d5b55ba44c

 

3732160784_Dr0OBYWi_d9ceac76621f7c32396e

 

3732160784_A4PI2630_e58b72564fe161556103

청령포(淸泠浦) 관음송(觀音松)은
단종(端宗)의 유배 모습과 두려움에 우는 소리까지 다 들었던 나무라 하여
전부터 관음송(觀音松)이라 불렀다고 한다.
천연기념물 제349호로 지정 관리하고 있다.

 

3732160784_TiH5YJlC_6ba08f8901625314e41b

 

3732160784_yJR1WbhQ_1df4584bca41fa273804

 

3732160784_IzsMQ5xi_03030222f438c00d6ef1

 

3732160784_AtXexIV4_8b77d007ddfd5808108e

금부도사(禁府都事) 왕방연(王邦衍)이 단종(端宗)께 사약(死藥)을 진어(進御)하고

한양(漢陽)으로 돌아가는 길에...
비통한 심정으로 청령포(淸泠浦)를 바라보며 읊은 시조(時調)가 찾는 이 마음을 더욱 아프게 한다.

그의 시조(時調)를 읇조리며

나도 영월(寧越) 청령포(淸泠浦)를 떠난다.


천만리 머나면 길에 고운님 여의옵고...
내 마음 둘 때 없어 냇가에 앉았으니...
저 물도 내 안 같아서 울어 밤길 예 놋다...

 

천리 머나먼 길에서 어린 임금과 이별하고...
비통한 내 마음 어디에 둘 길 없어 냇가에 앉았더니...
저 물도 내 마음 같아서 울면서 밤길을 흘러가네...

 

3732160784_seZJ6xUO_f99dcc6bcf3ac4bd0492

이상으로 이번 동해안 여행을 마감한다.

언제 또 떠날지는 모르지만... 여행은 늘 설렘으로 시작하여 아쉬움으로 끝을 맺곤 한다.

그러기에 다음 여행이 또 기다려지는 까닭이다.

 

Comments

최신 등록글
글이 없습니다.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