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색 짙은 만추(晩秋)에... 산사(山寺)를 찾다.

DS3EXX 0 979

 

 

가을색 짙은 만추(晩秋)에... 산사(山寺)를 찾다.

 

법보사찰(法寶寺刹)... "해인사(海印寺)"

 

2042560905_AhFz5xrM_c29dc9259066470bc679

 

가야산(伽倻山) 전경(全景)

 

2042560905_opv4Y9Ew_883a3920b55c4de9c403

 

2042560905_arJFs6f9_5eed341ef9b7eb25ce57

마치 눈이 내린 모습 같으나 전부가 흰색의 화강암으로 된 바위들이다.

 

2042560905_bEOQAka6_35bbd45ebbd06b4b5727

가야산(伽倻山)은 기묘한 바위들이 늘어선 만물상(萬物相)이 유명한데...

시간이 부족하여 올라가지는 못했다.

 

2042560905_iGrLjfwR_2ba2e5e3fa8ce68b8a40

 

2042560905_TnbmurN3_2166537ae200afb28027

홍류문(紅流門) 매표소

 

2042560905_CSBNtmi2_2a6448eeb7e240296774

 

2042560905_0943RIdK_4d9fc34ec9ca0602d24c

 

2042560905_7brSzUpX_123b225ad941ba23098d

 

2042560905_tiwNyBJa_0480f4c8cb4735ab7c36

 

2042560905_J5vc7FCG_d4e544c58235dfca5e51

 

2042560905_exqVNcCO_a795e92f5406248137cf

 

2042560905_0QwHxB2d_559b36d375d8736e39b8

 

2042560905_Ck97O043_378cacf59abda3982572

 

2042560905_aIgJ6SQ1_c63024a3c66edef98bea

 

2042560905_REa1xk7A_484aadd4e71e408e9da2

 

2042560905_k2ZluqTS_c402cff35829b15d9f92

 

2042560905_0wQv72Ue_de3e050649e4d56b0e12

 

2042560905_bznQyjFm_748a740b5e7b00ba29a5

 

2042560905_bUWpYCg5_9546c450cbf1d5b3595f

 

자운대율사((慈雲大律師) 부도탑(浮屠塔)
한국불교(韓國佛敎)의 율맥(律脈)을 이어받아 율풍(律風)을 크게 일으킨 큰스님으로
불교계에서는 널리 존경을 받는다.
해인사(海印寺) 홍제암(弘齊庵)에서 세수(世壽) 82세, 법납(法臘) 65세로 입적(入籍)했다.

 

2042560905_cV5OjYqC_abf0635236d14d2b7343

 

2042560905_gWwmf3Uh_420929d673224d9ed6cf

 

성철(性徹)스님 부도탑(浮屠塔)

 

2042560905_hD3dB6xK_a6d9e101f3b559f03dae

 

중국(中國) 송(宋)나라 때

임제종(臨濟宗)을 개종(開宗)한 임제(臨濟)의 후예(後裔) 선사(禪師)인 "유신선사(惟信禪師)"
노자(老子)의 화광동진(和光同塵) 사상(思想)을 해설하여 교시(敎示)를 내린 적이 있었다.
이것을 성철스님이 인용하여

종정(宗正) 때 법어(法語)를 내려, 일반 대중들에게 유명해졌다.
유신선사(惟信禪師)의 설법(說法) 내용은 이러하다.

 

2042560905_MHO71eoh_cf1f5864fb1bea5d3b88 

 

"내가 삼십 년 전 참선(參禪)하기 전에는 산은 산으로, 물은 물로 보았다가
나중에 선지식(善知識)을 친견(親見)하여 깨침에 들어서서는 산은 산이 아니고 물은 물이 아니게 보았다."
"지금 휴식처(休息處)를 얻고 나니

옛날과 마찬가지로 산은 다만 산이요, 물은 다만 물로 보인다."
"그대들이여~!,"
이 세 가지 견해(見解)가 같으냐~?
다르냐~?
이것을 가려내는 사람이 있으면 나와 같은 경지(境地)에 있다고 인정하겠노라~!."

 

2042560905_CM4mRlwW_130262174c1187821802

자운대율사((慈雲大律師) 부도탑(浮屠塔)

 

2042560905_DufJwH8e_8e7099cb612e00032866

 

해인(海印)이란...
부처의 지혜(智慧)로 우주(宇宙)의 모든 만물(萬物)을 깨닫고 통달(通達)하는 것을 말한다.
부처님의 말씀, 즉 법(法)을 관조(觀照)한다는 것은
바다가 만상(萬象)을 비추는 것과 같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온 세상이 진리(眞理)의 물결로 가득한 곳,
부처의 가르침 곧 석가여래(釋迦如來)의 말씀으로 넘쳐나는 바다,
즉 해인(海印)의 세계가 펼쳐지는 곳이 바로 가야산(伽倻山) 해인사(海印寺)이다.

 

2042560905_wvgyeEUJ_eb104af089d36b2b13fa

 

불교(佛敎)에는

세 가지 보물(寶物)이 있는데...
"부처(佛)" 그리고 부처의 "가르침(法)"과 그 가르침을 전하는 "승려(僧)"를 말한다.
이를 "삼보(三寶)"라 하여 "불보(佛寶), 법보(法寶), 승보(僧寶)"라고 부른다.
우리나라의 많은 사찰 중에서 이러한 세 가지 보물(寶物)의 으뜸 역할을 하는 사찰로
불보사찰(佛寶寺刹)로는 양산의 "통도사(通度寺)",
승보사찰(僧寶寺刹)로는 순천의 "송광사(松廣寺)",
법보사찰(法寶寺刹)로는 이곳 합천의 "해인사(海印寺)"를 꼽는다.

 

2042560905_qx9sdH2X_dcd5ba6c74273259c306

 

불가(佛家)에서 법(法)이란...

부처님의 말씀,
즉 석가여래(釋迦如來)의 지혜(智慧)를 의미한다.
해인사(海印寺)는

고려시대(高麗時代) 호국불교(護國佛敎)의 상징으로 불리는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을 600여 년이나 고이 보전함으로써
법보사찰(法寶寺刹)의 명성(名聲)을 얻게 되었다.

 

2042560905_suVetRrj_c3a638e08bba73916278

 

2042560905_FGPrhA4O_eb2acf41639d8f2abb9b

 

2042560905_G1Cd6DgW_aee777f9bab7b6a4561b

 

2042560905_ASUq1POH_52f9b193f9bb879110ad

 

2042560905_X4cLVOaf_f189ddc28032378acbd9

 

2042560905_cwarCNp4_7f48c4f590e23e3f6001

 

2042560905_ieN0Cl7U_b81ceef2adb8ba03fdfa

 

2042560905_T1sUrABh_7f05a9a2ea1ee9ece4ce

 

2042560905_4RChZa5G_39e9a3393c5e3c98def4

 

2042560905_7GehkrFX_74ff0d872fb36898636d

 

2042560905_oyJV8UqM_888be72692209becc245

 

2042560905_tYd5zkD3_2ba562b0de169eef8a18

 

2042560905_bNPaAqXi_9dff1e05105ecb6d5cf8

 

2042560905_32f7pnLE_483677fcc03ba2f7a8bb

 

대장경(大藏經)은...

부처님이 돌아가시고 난 뒤,
제자들이 부처님의 말씀을 집대성할 필요를 느껴
제자들이 기억하고 있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암송(暗誦)의 방법에 의하여 이른바 "결집(結集)"이 이루어 진 것이다.
본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은

부처님의 법력(法力)으로 몽골(蒙古)의 침략을 물리치고자 제작 되었다.

 

2042560905_YpyS3ZUK_b3ee7a12307d84634438

 

고려(高麗) 고종(高宗) 때인 서기 1237년에 착수하여 14년 만인 서기 1251년 완성했다.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팔만(八萬) 매가 된다 하여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이라고도 하는데,
완성 당시 경판(經板)의 총 수는 8만 1,137매였으며 이 후 몇십 매가 더해져
현재 보관되어 있는 것은 8만 1,258매에 이른다고 한다.
조선조(朝鮮朝)까지는 강화도 선원사(禪源寺)에 보관되었던 것을
해인사(海印寺)로 옮겼다.
따라서 조선시대(朝鮮時代)에는 "해인사대장경(海印寺大藏經)"으로 불렸으며,
현재는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으로 불린다.
해인사(海印寺)로 옮긴 시기에 대해서는

많은 이론(異論)이 있으나 서기 1398년인 태조(太祖) 7년에 옮겼을 것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2042560905_E9ywsaF7_c29efadb11fca88026f4

 

몽골(蒙古)은 1차 침입인

서기 1231년부터 서기 1258까지 무려 9차례나 고려(高麗)를 침입했다.
그들은 몽골(蒙古)의 말을 듣지 않고 버티며

무소불위(無所不爲)의 권력(權力)을 휘두루던 "최씨(崔氏) 무신정권(武臣政權)"을 결국 무너트렸다.
또한 수많은 인명을 살상(殺傷)했으며
문화재(文化財)란 문화재는 모조리 잿더미로 만들었다.
그리고 나서 72명의 관리(管理)를 파견하여

고려(高麗) 조정(朝廷)을 감독하며 철저하게 고려(高麗)를 짓밟았다.

 

2042560905_lL6F4N9f_98632b953e4867160933

 

심지어 7차 침입 때는

20만 명이 넘는 백성들이 포로로 끌려가 노예(奴隸)가 되기도 했다.
대장경(大藏經) 경판(經版) 제작(製作)은

부처님의 법력(法力)으로 무지몽매(無知蒙昧)한 몽골족(蒙古族)의 침입을 막고자 총력을 기울인,

그야말로 국운(國運)을 건 사업이었지만...
몽골은 한반도 끄트머리까지 달려가

신라(新羅) 때 창건한 서라별의 대가람(大伽藍) 황룡사(皇龍寺)까지 불태워 잿더미로 만들었다.
그리고는 제주도까지 쫏기며 끝까지 저항하던

삼별초군(三別抄軍)을 완전 제압하고 나서야 전쟁을 끝냈다.
고려(高麗)는 그 후로도 오랫동안

몽골(蒙古)의 속국(屬國)이 되어 엄청난 조공(朝貢)을 바치며 굽신겨려야 했다.

 

2042560905_W3eDUsjR_617805cf08543931cf77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은 그야말로 목숨을 걸고 만들었고, 또 지켜낸 보물(寶物)이다.
이런 가치가 인정되어

훗날 세계적(世界的)인 문화유산(文化遺産)으로 남았지만,
백성들의 불심(佛心)이 부족한 탓인지...
부처님의 법력(法力)이 모자란 탓인지...
28년 동안
몽골(蒙古)이 고려(高麗)를 철저하게 파괴및 유린하는 데도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했다.

 

2042560905_upNlv1MT_6df35529efd1aeb25e41

 

2042560905_jEtOC18B_9c9fb08487c73cf231f3

 

2042560905_XqrKMlOx_730ce1ca4d7b56640548

 

2042560905_EWNc89ms_f8f5b9e94202fb4cd3b0

 

2042560905_TL5jFupf_7272853a6170eba650d2

 

2042560905_skLRcgml_a0bdaf889c1f811efe22

 

2042560905_iZoTKC15_dc641a746b3e6cc83d91

 

2042560905_4LglstZ9_c691593c37ed3c5ca72e

 

2042560905_xhUlyCPX_441eb7a733ab7b52cd6b

 

2042560905_BjVhEsIA_5c33ba10a724006b1b01

 

2042560905_HXCsVPMZ_32068ad338bd4dd8208c

 

2042560905_q6Q14V5e_60c14e25c3913adcb1b6

 

2042560905_NXr4F7hx_beac30422081ff8c1678

 

2042560905_WrBkTLp6_093138079e34d7592e20

 

2042560905_NCcqpW72_85955b21b2459fd49ea0

 

2042560905_FXhqen2O_8f3180df63b2a90d02f6

 

2042560905_Z0mgdL1i_7e28f992005a01b3ef44

 

 

 

2042560905_g0uEnK3H_cc61bdf6f2654723e0f9

 

2042560905_bOKE8iIo_c08f01a3999ca26e7ecf

 

2042560905_OcRj6ruA_b916115471f4e523c560

 

2042560905_j3OAtIXS_7e00a71058b9fbed289e

 

2042560905_qMvIAgcd_58e2bb37ddc0c5d1034a

해인사 성보박물관(海印寺 聖寶博物館) 앞 삼층석탑(三層石塔)

 

2042560905_bjkKzlQY_30e69f8e524020653529

 

Comments

최신 등록글
글이 없습니다.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