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을 넘고 섬진강을 건너서...

관리자 3 1,119

지리산을 넘고 섬진강을 건너서...

 

사성암(四聖庵)은
굽이치는 섬진강(蟾津江)을 경계로 하여
전라남도 구례읍을 마주보고 앉은 오산(鰲山) 절벽에
제비집처럼 붙은 암자(庵子)입니다.

 

3718272858_AWxF43nB_5c3e52ce20561296105b

이런 특이한 모습은
유명한 현공사(悬空寺)를 비롯한 중국에서는 흔한

가람(伽藍) 형태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이곳이 유일합니다.

 

3718272858_Bz72qlLE_87ad3539ba555345f5a0

섬진강을 바라보며 탁 트인 풍광 또한 수려하여
수행자(修行者) 뿐만 아니라
일반 여행객(旅行客)도 많이 찾는 절집입니다.

 

3718272858_Cbr48ah6_0b380e7f055240c0a912

사성암(四聖庵)이 앉은 산이 "오산(鰲山)"이라고 하는데,
흔히 쓰는 글자가 아닌
"자라 오(鰲)"자를 쓴 것으로 보아
산의 형상이 섬진강 가에 앉은 "자라"를 닮아

붙여진 이름 같습니다.

 

3718272858_VxHKlrZ8_6360e20ed1e88cd81227

오산 꼭대기에 올라 드론(Drone)을 날려
산의 모습을 확인하려 했지만...

 

3718272858_upqAjR0d_1667fa414b213b9292ca

완숙하지 못한 조작 미숙과 열기를 뿜어내는 무더위에
땀이 비오 듯 뿜어져 나와
잘 되질 않았습니다.

 

3718272858_QmXVNZY3_91b5e0875a01e3f56edf

아름다운 산사(山寺) 사성암(四聖庵)은
서기 544년 백제 성왕(聖王) 22년에
"연기조사(緣起祖師)"가 건립한 암자(庵子)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3718272858_u7Ws4tCa_aa52ecae8010804774e6

연기조사(緣起祖師)는

인도(印度)에서 온 승려로 기록되어 있기도 한데,
그는 지리산 화엄사(華嚴寺)를 창건하고
화엄경(華嚴經)을 전파한 승려로 알려집니다.

 

3718272858_oj7UF01y_de514f655b0d0ac2949d

화엄사(華嚴寺)를 창건했다고 전하는 연기조사(緣起祖師)는
신라 서라벌 황룡사(皇龍寺)에 적을 둔 승려였으며,
화엄사를 창건한 연대는 기록마다 판이하게 달라
가늠할 수가 없습니다.

 

3718272858_PORMeAnj_903a9c21b86944f77317

그가 화엄경(華嚴經)을 필사(筆寫) 즉 옴겨 쓰고 활동했다는 연대가
통일신라 제 35대 경덕왕(景德王) 13년,
서기로 754년이란 것은
대체적인 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는데...

 

3718272858_NrEAZoRl_94a76a3d50a504f29fad

이곳에 사성암(四聖庵)을 창건한 연대가

서기 544년 백제 성황(聖王) 22년이라고 하면...

3718272858_8js5Fv0f_53d6615047abce259df7

그가 활동한 시대보다
약 200년 앞서서 이곳에 암자(庵子)를 지은 것이 됩니다.
이건, 앞 뒤가 빗나가도 한참을 빗나간 전설입니다.

 

3718272858_iFQWH0xN_bee7464da139f3f70051

그리고 한반도에 화엄경(華嚴經)이 알려진 것은
신라의 승려 "자장(慈藏)"
당나라로 유학을 떠난지 7년만인
서기 643년 선덕여왕(善德女王) 12년에
당나라에서 귀국할 때
화엄경(華嚴經)을 가져와서 강설(講說)한 이후

대중에게 유포되기 시작합니다.

 

3718272858_ZSMs1pyW_966c3b441aa1a840deb2

화엄경(華嚴經)이 화엄사상(華嚴思想)으로 발전하며
크게 영향을 미친 것은
원효(元曉)의상(義湘)이 화엄경(華嚴經)을 연구하고
화엄종(華嚴宗)을 창종(創宗)함에 따라 본격화 되었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 없는 사실입니다

 

3718272858_gfqozj2W_73b79f86a51daeb39ef7

그런데 앞 뒤가 전혀 맞지 않는
인도에서 왔다는 신비한 인물의 승려 "연기(烟起)"
당시 백제 영토인 지리산에

화엄사(華嚴寺)를 창건하고 화엄사상(華嚴思想)을 설파했으며,
이곳 사성암(四聖庵)까지 지었다는 것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3718272858_PaOgQ2Rc_faa12400b886b940302a

아무리 묻고 따지지 않는
지난날의 전설 같은 이야기라 할지라도...
어느 정도 합리적(合理的) 개연성(蓋然性)이 있어야
설득력(說得力)이 있습니다.

 

3718272858_kdCyL2uT_6e8324269cb00cafc710

굳이 본질를 벗어난 껍데기를 가지고
물고 늘어지며 따져보자는 것은 아닙니다만,
좀 텁텁한 뒤맛이 느껴지는 것은 어쪌수 없습니다.


3718272858_q6TcRivQ_e9bf6becce2d276677c4

아무튼 종교(宗敎)는 전설적 신비감이 너무나 강해
선듯 받아들이거나
이해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기에,
신자(信者)들을 제외한 일반 대중은 이질적(異質的)으로 느껴져
거리감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3718272858_pOSB49es_d698fdbcdeba6810ac9f

이곳 산수 수려한 오산(鰲山)의 사성암(四聖庵)은
창건 당시는

"오산암(鰲山庵)"이라 불렸다고 합니다.

 

3718272858_c5fvD0eI_06c6c20b814f3923ee9f

그 후  신라의 원효(元曉), 도선(道詵), 의상(義湘)
고려의 진각(眞覺), 등,
네 명의 고승(高僧)이 이 암자에서 수도하였다고 하여
후대(後代)에 "사성암(四聖庵)"으로

이름을 고쳐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3718272858_DsWVqZIp_e3a04ee171c5b2a8bd29

이런 연유로 사성암(四聖庵)은
병든 중생(衆生)을 치유하고 구제하는
약사기도(藥師祈禱) 도량(道場)으로 이름을 날리며
천년 세월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3718272858_LINgvmVQ_41e277726a4e94408200

늘씬한 긴 다리를 아래로 뻗고
깎아지른 절벽에 붙은 법당(法堂)이
특히 아름답고 신기하여 유명세를 더합니다.

 

3718272858_i16kOjT5_1dc61d31cd8f50a700bf

약사유리광여래(藥師瑠璃光如來) 즉
약사여래불(藥師如來佛)을 주불(主佛)로 모신
"유리광전(琉璃光殿)"입니다.

 

3718272858_w280YeUp_e6647df38515888f96d4

언듯 보면 작은 암자(庵子)인 듯 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바위 틈에 오밀조밀 자릴 잡은
자그마한 나한전(羅漢殿)과 산신당(山神堂) 등 부속 법당(法堂)들이
잘 갖추어진 절집입니다
.

 

3718272858_84yhPQ03_23745067fef72a3b41e5

그리고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수도했다는 도선굴도 있어서
신비감을 더합니다.

 

3718272858_SJbmpA3Q_0525bc0903db00ba644b

구미 금오산 절벽에도

그가 수도한 도선굴이 있는데
도선(道詵)은 바위굴을 수행처로 특히 좋아했던 듯 합니다.

 

3718272858_0gKR1OyG_f5bdf081545043efe55c

이곳 구례의 오산(鼇山)처럼
산수경치가 빼어나게 수려한 곳에는
어김없이 절집이 않아있습니다.

 

3718272858_m6EBl37z_3e06c1c448f4531c34d5

절집이 산으로 간 까닭은~?.
불교(佛敎)의 특성상 스스로를 깨우치고 닦는
참선(參禪)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한적한 산속 만큼 좋은 장소도 없었을 것입니다.

 

3718272858_zib2G6kO_e3b0322a381d382d99ab

그리고 불교의 한 종파인

선종(禪宗)의 영향도 크다고 보여집니다.
처음 이땅에 불교가 전파 될 때는
도시의 민가에 사찰이 있었으나,

 

3718272858_RyFMmCi8_f440b8607ae618cf7aff

신라 말 당나라에서

선종(禪宗)이 전해지자
귀족들은 선종을 이단으로 거세게 몰아 붙였습니다.

 

3718272858_r1JjQdRP_ce4b498a4257ccde11e3

이로서 선종은 수도에서 밀려나 지방을 근거로
선종 9산으로 발전하게 되면서
깊은 산속에 사찰이 숨어들게 됩니다.

 

3718272858_uXdF2JgI_ee25cedba9ffbabab46c

또한 조선시대 유교(儒敎)를 국교(國敎)로 삼고

불교(佛敎)를 배척하는
억불정책(抑佛政策)의 영향도 큼니다.

 

3718272858_s2wpPBaF_6b74c37a56be6a38a1ab

세종(世宗) 때에는 전국에 36개 절만을 인정하고

그 외는
양반들의 유흥지(遊興地)로 이용하기도 했으며
일부는 절집을 부수고

그 자리에 서원(書院)을 짓기도 했습니다.
결국 절은 더 깊은 산으로 숨어들 수밖에 없었던 까닭입니다.

 

3718272858_okeAp9S7_a9ca7ee0232cac80eefd

사성암(四聖庵)에서 내려다보는 풍광은
예나 지금이나 참으로 아름답습니다...!,

 

3718272858_HIm9e6rU_faf6d2ccb3853a0c1364

굽이치는 섬진강과

푸르고 넓은 구례 들녁...

이런 곳에 어찌 고승(高僧)이 나지 않겠습니까~?.

 

3718272858_InJw13Fb_3af35639ec87984b5f92 


명산(名山)에는 명찰(名刹)이 들어서고...
명찰(名刹)에 명승(名僧)이 나오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이치입니다.


부처님의 가호(加護)가 늘 함께하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Comments

hypersensitive
https://koreanzz.co.kr https://sogigift.kr https://dhus.co.kr https://bou.or.kr https://ycfec.or.kr https://201studio.co.kr https://jonggun.co.kr
resume
http://beam4u.co.kr/
rooms
https://ete-ete.co.kr
최신 등록글
글이 없습니다.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