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寒食)"의 유래...

관리자 7 1,235

 

"한식(寒食)"의 유래...
개자추(介子推)의 발자취를 더듬다 !.

 

3718272858_EYgkcZ4V_ec1a14cac542044b6641

"면산(綿山)"의 기원은

춘추시대(春秋時代) 즉 기원전(紀元前: 770~ 403)년
진(晉)나라의 충신(忠臣) "개자추(介子推)"

노모(老母)를 모시고 숨어 살던 곳이자,
그가 불에 타 죽은 산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면산(綿山)을 달리 "개산(介山)"이라고도 부르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3718272858_RewHoKrz_f38b5d7103db872880d1

북위시대(北魏時代:386~534)부터 일찍이 명산으로 유명하여
도교사원(道敎寺院)인 도관(道觀)과
당시 세력을 떨치던 귀족들의
개인 사당(祠堂)이 여러개 지어졌으며,

3718272858_kLtb70Y9_1d845babc44cf3d1d76c

면산 입구.


당(唐)나라 초기에 와서는

이미 상당한 규모의 불교(佛敎) 사찰(寺刹)이

면산(綿山)에 들어와 터를 잡기도 했습니다.

 

3718272858_kxwmNJWL_7c77ab186f53a7b2ea12

거대한 개자추(介子推) 동상.


이곳 면산(綿山)에는

14군데의 큰 명승지(名勝地)와,
60여개의 작은 명승지가 있을 정도로 산세가

가파르면서도 수려한 산입니다.

3718272858_X50i7Exo_286ec3589e070500c2f0

면산 기념관에 전시한 면산 미니어처.


널리 알려진 대라궁(大罗宫), 운봉사(雲峰祠), 정과사(正果寺)

그리고 개공사당(介公祠堂)을 비롯한
10여 곳의 경승지(景勝地)가

협곡을 중심로 나뭇가지처럼 뻗어 있습니다.

 

3718272858_IWJafj8S_e81afde41a8738c67920

"한식(寒食)"
이곳 면산에서 유래했기에,
그 기원(起源)의 현장을 직접 보고싶어 찾은 것이
면산(綿山)에 온 첫번째 이유입니다.

 

3718272858_vt9HszR3_15008ddf6f7871b26b3b

한식(寒食)을 낳게 한 인물

"개자추(介子推)""개지추(介之推)"라고도 하며
서한(西漢)시대 그러니까 기원전 (202~ 기원후 8)에,
경학자(經學者) 유향(劉向)이 저술한 "열선전(列仙傳)"에 보면
그에 관한 내용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는데,
성은 "왕(王)"이고 이름은 "광(光)"이라고 합니다
.

 

3718272858_nPwG7vHR_904d0e6b5da43735cb1b

중국 관광지는 어디를 가든

입구에서 셔틀버스로 갈아타고 목적지까지 들어가는 것이 기본이다.


당시, 그러니까

기원전 677년, 진(晉)나라의 "헌공(獻公)"

"여희(驪姬)"라는 여인을 후첩(後妾)으로 두었는데... 

 

3718272858_fanJvVPp_a7dff926b6592e79059e

여희(驪姬)가 전처(前妻)의 자식들을 밀어내고
자신이 낳은 아들에게
진(晉)나라를 물려주기 위해 교활한 꾀를 내어
전처의 소생인 태자(太子) "신생(申生)"을 죽입니다.

 

3718272858_10zWhpXP_a6fe0094ae42fcb9bb79

면산을 오르며 내려다보는 들판 풍경.

면산은 태항산맥 중에서도 고도가 높아 평균 해발 2,100m를 넘는다.


그리고는 둘째 아들인 "중이(重耳)"와 셋째 "이오(夷吾)"마저
트집을 잡아 진나라에서 추방을 했는데,

3718272858_t1pIjlzc_263092d8d2de0a0b7538

이 때 개자추(介子推)는

둘째인 "중이(重耳)"를 주군(主君)으로 모시고 함께
망명생활을 시작합니다.

 

3718272858_huM9oS3l_f7154e8efbf9eac6bccc

욕심과 야망이 큰 많은 여희(驪姬)는

장차 화근(禍根)의 싹을 자르기 위해,
둘째 아들 중이(重耳)마저 죽이려고 병사들을 사방으로 풀어

찾아내려 혈안이 됩니다.

 

3718272858_5BqsutRT_8e58271502ae81616d70

쫓기게 된 중이(重耳) 일행은
겁에 질려 제대로 먹지도 못하고 잠도 못 자면서

불안에 떨며 도망을 다닙니다.

 

3718272858_MlP7I1gJ_049adf0aa6124bd7db56

그러던 어느날,

뱃가죽이 등에 붙어 죽을 것만 같았던 중이(重耳)가
"고깃국을 먹어 봤으면 소원이 없겠다"는 말을 하자,

 

3718272858_4S2ILnxe_94756d53b1c38f326339

이 험한 산속에서

고기를 구할 수 없는 형편임을 너무나 잘 알기에
중이(重耳)를 따르던 측근들은 다들 난감해 합니다.

 

3718272858_Y91qifKt_701e1e16c1676f33dc3e

그러던 차,

갑자기 개자추(介子推)가 어디선가 고기를 구해 와

국을 끓여 중이(重耳)에게 바칩니다.
허겁지겁 고깃국을 맛있게 먹고 난 중이(重耳)가
"이토록 험한 산속에서 어떻게 고기를 구했냐"묻습니다.

 

3718272858_2KADd4b0_551bdb83ce553c9fcff1

이에 개자추(介子推)가 말하기를...

"고기를 구할 수가 없기에
자신의 허벅지살을 잘라 국을 끓였다"고 아룁니다.

 

3718272858_W4zqZxQ2_5e6f89b0fd5d6ce41990

중이(重耳)가 미안하고 고마운 마음에

눈물을 흘리며 감격해 합니다.

 

3718272858_Bq9Q3sgL_35d48b58f6ae9a3640a0

"훗날 내 이 고통을 벗어나 큰 뜻을 이루면,

반듯이 오늘의 이 고마움을 결코 잊지 않고

너에게 수백배로 보상하마" 라면서,

시뻘건 핏물이 흥건한 개자추의 허벅지를

바라보며 이를 갈며 맹세를 합니다.

 

3718272858_U6Wy9VsX_6d448e3bae9e9f5f80ff

개자추(介子推)가 자신의 허벅지 살을 자른 것을 두고,

"허벅지 살을 베어 주군(主君)을 받든다"는 의미의
 "할고봉군(割股奉君)"이란

고사성어(故事成語)는 여기서 생긴 말입니다.

 

3718272858_CYvtLsQN_6d448e3bae9e9f5f80ff 

절벽 잔도 같은 낭떨어지 벼랑길을 셔틀버스가 고개하 듯 아슬아슬 다닌다.


그렇게 19년 간을 산속에서 숨어 살던 중이(重耳)는
인접국 진목공(秦穆公)의 도움을 받아
진(晉)나라로 돌아와 나라를 물려받으니,
춘추오패(春秋五覇) 중 마지막 인물인 제 24대 "진문공(晉文公)"이 바로
"중이(重耳)"입니다.

 

3718272858_n9kPCYg2_ae7d6c9ee3e8631ce4fb 

그의 나이 62세의 고령에 군주(君主)가 된 것입니다.

 

 

3718272858_f4m6XYsS_4699d0b9496c1f5d436c

당시는 군주(君主)를 "왕(王)"이라고 부르질 않고
"공(公)"이라고 칭하던 때입니다.

3718272858_5NdsZhX9_a9b9919eac402b9d80be

문공(文公)이 된 중이(重耳)는

방랑생활을 하며 자신의 곁에서 도움을 준 측근들에게

관직(官職)을 나누어 주는
"논공행상(論功行賞)"을 행했는데,
가장 공이 큰 개자추(介子推)에게는

어쩐 일인지 관직(官職)을 내려주질 않았습니다~??.

 

3718272858_0cnGIt2h_76af61926e1e4d660bbb

이에 개자추(介子推)는 실망을 하며

어머니에게 이르길...
"문공(文公)이 군주(君主)의 자리에 오른 것은 하늘의 뜻이거늘...
관직(官職)을 제수받은

몇몇 측근들이 다 자신의 공로라고 떠벌리고 다니니...
그런 자들과 어찌

나라를 위해 함께 일할 수 있겠습니까~?."

 

3718272858_Eakmqcv8_f31892aeaab109f6677e

개자추(介子推)가 숨어 다녔다는 서현곡 입구.


"따라서 어머니를 모시고 아무도 찾지 못하는

깊은 산속으로 들어가
세상을 등지고 남은 생을 살고자 하니...

허락해 주십시요." 라고 말합니다.

 

3718272858_oSBGLyc8_3a0cb336400acf1c0e27

노모(老母)도 이에 동의하여

이들 모자(母子)는 산속으로 들어가 은거(隱居)를 하니...
그들이 숨어 살았다는 곳이

이곳 "면산(綿山)" 일대입니다.

 

3718272858_w6qAOx8e_395288bbb71e15d6d601

면산(綿山)에 숨어 살 때 고향 친구 "장해(張解)"
친구가 노모(老母)를 모시고

깊은 산속에 은거했다는 소식을 듣고는 걱정이 되어

물어 물어 어렵게 개자추(介子推)를 찾아옵니다.

 

3718272858_gEqufoKy_80260dcf82ed7b96b2bd

이때 개자추(介子推)는 자신을 찾아온 친구에게

이곳에 오개 된 사연과,
지난날 중이(重耳)를 모시고 숨어 살면서

배고픈 중이(重耳)를 위해 자신의 허벅지살을 베어
국을 끓여 먹인 일 등을 차근차근 들려주며...

 

3718272858_aHgomjbu_9ad6a9f44670f332d976

중이(重耳)가 군주(君主)가 되고 나서

논공행상(論功行賞) 때,
자신에게는 아무것도 돌아오지 않고

자기들 끼리 모든 관직(官職)을 나누어 가지고 말았다는

이야기를 들려주자,

 

3718272858_gKZTd8cn_4850a4074e344f87d60a

개자추와 그의 어머니 상


친구 장해(張解)는,

분노(憤怒)가 치밀어 화를 참치 못하고
그 길로 산을 박차고 내려가,
개자추(介子推)가 소외된 사연을 적은 여러 장의 벽보(壁報)를 만들어

저자 거리 곳곳에 붙이며
벡성들에게 알립니다.

 

3718272858_eMxZWFns_d2fd9818ba59bc256158

개자추(介子推)를 까맣게 잊고 있던

진문공(晉文公)은,
저자 거리 곳곳에 붙은 벽보를

신하(臣下)들이 떼어가지고 온 뒤 자세히 보고서야...

3718272858_v5b28u9X_abe1c9aa2be6b5d071b7

자신의 큰 실수임를 크게 깨닫고는,
그제서야 개자추(介子推)를 떠올리며

병사들을 풀어 그의 행방을 찾아오라고

다급히 명을 내립니다.

 

3718272858_CE6UXxp4_9679d4959e5648030d5c

얼마 후

개자추(介子推)가 면산(綿山) 어딘가에
노모(老母)와 살고 있다는 소식을 접하고는...

 

3718272858_ctqpMvbk_751a9f01d837b61ca027

몸소 면산(綿山)을 찾아와

개자추(介子推)를 애타게 부르며 찾지만...
그는 끝내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3718272858_fjzyFhEK_751a9f01d837b61ca027

개자추와 어머니 그리고 그의 친구를 모신 개공사당.


이에 안타까워 하던 문공(文公)에게,
예전 도망다니며 고단한 생활을 할 때

개자추(介子推)가 자신의 허벅지살을 잘라 주공(主公)을 먹인 것을
질투하며 탐탁치 않게 여기던 측근들이
문공(文公)에게 한 가지 꽤를 내어 아룁니다.

 

3718272858_MzWYvV4k_4e229d99a33b53d30efb

"면산 3면에 불을 지르고

한 곳을 터주면
그곳으로 자추(子推)가 불을 피해 결국 나오고 말 것입니다."

 

3718272858_ZB7au5Ql_0ede386e803cb330e7ed

자추(子推)가 산에서 내려오면 자신들 보다

높은 위치에 기용 될 것이 뻔하자...
이에 불안을 느끼고,

자추(子推)를 아에 불에 태워 죽이기 위해

교활한 꽤를 낸 것으로...

3718272858_F1COsd7e_3440c13a0889e5489589

"3면에 만 불을 지른다고 아뢰고는
몰래 4면 모두에다 불을 지르면,
산에서 나오지 못하고 결국 불에 타 죽고 말 것"임을
서로 짜고서 거짓으로 아룁니다.

 

3718272858_sI4dl5SU_0d8645e3c2bdeb92a379

개자추(介子推)


효심(孝心)이 깊은 자추(子推)가
어머니를 모시고 반드시 나올 것이란 말에,


3718272858_rZo2CqiQ_a8e482748daf4d23f447 

개자추 모친(母親)


묘책(妙策)이라고 탄복한 문공(主公)은

"면산(綿山) 3면에 어서 불을 지르라" 명하고는,
자추(子推)가 산속에서 내려오기를 눈이 빠져라 기다립니다.

 

3718272858_wvjp1ieH_1b830deab95d2a2bb260

개자추 친구 장해(張解).


3일 밤낮 동안 온 산을 다 태웠는데도
개자추(介子推)와 그의 노모(老母)는

왠일인지 내려오질 않았습니다.

 

3718272858_6hkwaNdl_20a7eef89041b060b68e

3면이 아닌 4면 모두에

불을 질렀으니...

내려오고 싶어도 나올 수가 없었던 것입니다.

 

3718272858_iTpERXzU_ded37f8beb02f703a730

3일 후 불이 꺼진 뒤
병사들을 풀어

면산(綿山)을 샅샅이 뒤지며 찾으니...
아뿔사~!

불에 탄 커다란 고목 밑에서

개자추(介子推) 모자(母者)가

서로 껴 안은 체 불에 타 죽은 처참한 모습을 발견합니다.

 

3718272858_o4FuXIDG_5a085aa19bdcc8eec91f

이을 본 문공(文公)은,

그 자리에 주저앉아

땅을 치며 회한(悔恨)의 눈물을 쏟아냅니다.

 

3718272858_YbAi0NFW_6a3255f475809c8044e8

문공(文公)은 그 자리에서

신하들에게 불 같은 명을 내립니다.
죽은 개자추 모자(母子)를 위해

"면산(綿山)을 개자추(介子推)의 땅으로 영원히 봉(奉)하며,"
지금부터 이 산의 이름을 개자추(介子推)의 이름을 딴

"개산(介山)으로 부르라" 명합니다.

 

3718272858_FyTtQCOm_6925e4e98c2bc9919724

그가 불에 타 죽은
음력 3월 초닷새부터 3일간은,

온 나라 오든 백성들을 비롯한 자신과 관리들 모두는
개자추(介子推)를 추모하는 뜻에서
불로 요리를 못하게 하고,
찬 음식을 먹게 했으니...
이것이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한식(寒食)"의 유래입니다.

 

3718272858_E5DVHpRe_136294b29d25a77479ca

한식(寒食)은

"동지(冬至)"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로,
"청명절(淸明節)"과는 
하루 정도 늦거나 빠르기도 하나

대체적으로는 같은 날입니다.
이 날은 후손들이 모여 조상(祖上)의 산소를 찾아 제(祭)를 지내기도 하고

묘지를 돌보기도 합니다.

 

3718272858_g7nL9Jpz_ce488e02556b577a5dfb

이후 문공(文公)은,

깊이 자책하며 반성하는 뜻에서
불에 탄 면산(綿山)의 나무로

나막신을 만들어 신고 다녔는데...
걸을 때마다 발 밑에서 나는 달그락 소리를 들으며

자추(子推)의 깊은 충심(忠心)을 잊지 않았다고 합니다.

 

3718272858_PxLge3Zh_1f12268687138827c3d8

귀한 친구를 부를 때 "족하(足下)"라 하는데,
이는 여기서 유래한 말입니다.

 

3718272858_rKyqfCvG_2ec8a6e4d4332fc3ba70

나는 "한식(寒食)"의 유래와
개자추(介子推)의 절개(節介),

깊은 충심(忠心)과 효심(孝心),
그리고 절벽에 들어선 웅장하고 신비한 고건축물(古建築物)들을

면산(綿山)에 와서 꼭 보고싶었습니다.

 

3718272858_gX58Flv7_0fb128f8449865ea795c

태항산맥(太行山脈) 중에서 가장 오지의 협곡인

이곳 면산(綿山)은,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험난한 산이기에
아슬아슬 절벽 틈에 날아갈 듯 지어진 매혹적인 건물들이

비교적 잘 보존될 수 있었습니다.

 

3718272858_i4wd7NpQ_a78ce9b4e54443129286

면산(綿山) 골짜기 바위틈에는

도교(道敎)와 불교(佛敎)를 대표하는

멋진 사원(祠院)들이 웅장한 모습으로

깎아지른 절벽과 조화를 이루며 서 있습니다.

 

3718272858_XbaMnz9I_21dee10ebb9c6e6f6d98

펑평하고 드넓은 땅을 두고서

하필이면,

처마 끝의 제비집처럼

이런 위태롭고 위험천만한 절벽 틈에다 사원(祠院)들을 지었을까~??.

나는 지금도 그것이 의문으로 남아 있습니다.

 

3718272858_0WxV2YTM_f7652be202f02916a959

그리고 사원들을 돌아보는 내내 머릿속을 가득 채운 것은,

깨달음은 도데체 무엇이고...

버리는 것은 또 무엇이며...

그것이 왜 중요한지...??.

 

3718272858_iPr6LCF9_455c62cb800e1e289c4a

나는 지금도 그 단순한 뜻을 알지 못합니다...

 

3718272858_9TIObrhe_dd93ef4a1bfd7ac2bdb4

어느 훌륭하신 분이 쓴 글에서...

"삶은 한조각 구름이 이는 것이요...

죽음은 한조각 뜬 구름이 흩어지는 것"이라고 했는데...

 

3718272858_aTH7kIJg_fafca98471458c1ae3fe

그렇게 덧없는 삶을

우리는 왜,

매일 같이 긴장 속에 악을 쓰며 살고있는 것일까요~??.

 

3718272858_VNtBscZI_e8e849e3309a611a911e

내가 꿈꾸는 내 안의 자유(自由)는...

모자람 없이 풍요롭고 넉넉함을 바라는 것은 결코 아닙니다.

그저, 마음을 펼쳐놓을 작은 공간이면 충분한데...

그것마저도 쉽지 않은 게 현실입니다...

 

3718272858_W9JZnNAX_95e4a282bbe0b5d63ae3

내가 이곳 오지(奧地) 중 오지인,

태항산맥(太行山脈) 중에서도 면산(綿山)을 찾은 것은

나도 모르는 내 안의 또 다른 내가,

낯선 곳에서 느끼는

새털처럼 가볍고 홀가분한 자유(自由)

잠시나마 느끼고 싶었기 때문은 아니었을까~? 하고 생각도 헤봅니다...


짧은 여행 중,

태행산맥(太行山脈)의 웅장함과
가파른 산비탈 바위틈에 지어진

인간(人間)의 간절한 신앙심(信仰心)이 이룩한 위대한 문명(文明)의 흔적들을 배경으로,
몇 개의 주제로 나누어
사진으로 나마 짤막하게 소개을 이어갈까 합니다...^^.

 

Comments

backlink
롤 잘하는 방법 알려줌. seo 검색엔진최적화 https://koreanzz.co.kr 백링크 https://directphone.co.kr 폰테크 https://phonestar.org 폰테크
백링크
롤유저 99%가 듀오삭제를 원하는데 안하는 이유를 알아보자 seo 검색엔진최적화 https://koreanzz.co.kr 백링크 https://directphone.co.kr 폰테크 https://phonestar.org 폰테크
lance
https://backlink-admin.com バックリンク 被リンク https://koreanzz.co.kr 백링크 https://ycfec.or.kr https://gamebee.co.kr https://toyhubh.cafe24.com https://gamebee.co.kr https://phonestar.org https://directphone.co.kr
4th
https://koreanzz.co.kr https://sogigift.kr https://dhus.co.kr https://bou.or.kr https://ycfec.or.kr https://201studio.co.kr https://jonggun.co.kr
4th
https://btcrt.co.kr 백링크
망인
<a href="https://fnsfood.kr/" target="_blank">제주맛집</a>
인공강우
<a href="https://seocart.kr/" target="_blank">비트겟</a>
최신 등록글
글이 없습니다.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